안녕하세요.
부천 이보다치과 대표원장 배태현 입니다.
임플란트 수술 시 주의해야 하는 전신질환!

지난번 "당뇨"에 이어서
오늘은 "골다공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약물 관련 턱뼈 괴사, MRONJ
골다공증을 앓고 계신 분들이
치과 수술 전 주의하셔야
하는 부분은 바로 어떤 약을
복용하시는 가입니다.
골다공증 약 중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또는
데노수맙 계열의 약은
약물 관련 턱뼈 괴사 (MRONJ,
Medication-Related Ostonecrosis of the Jaw)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괴사된 잇몸뼈 (출처:구글)
이 약물들은 뼈의 대사를 억제하여
골밀도가 낮은 골다공증을
앓고 있으신 분들에게
골밀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뼈의 치유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임플란트 수술이나 치아 발치 후
회복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장기간 약을 복용했을 경우
외과적인 치과치료(임플란트, 발치) 후
턱뼈 괴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어떤 약을 복용 중인지 꼭 확인!

골다공증 약을 복용 중이시라면
수술 전에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언제부터,
어떤 약을,
얼마나 복용했는지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1. 포사맥스(Fosamax)
2. 악토넬(Actonel)
3. 본비바(Bonviva)
주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1. 본비바 주사(Bonviva injection)
2. 졸레드론산 주사(Zometa, Aclasta, Reclast)
주사용 데노수맙
1. 프롤리아(Prolia)
대표적인 골다공증약의 상품명을
알아보았는데요.
위에 열거된 약물 외에도
골다공증 치료 관련해서
드시는 약이 있다면
꼭 치과에 말씀해 주셔야 합니다.
골다공증약 먹고 있으면 임플란트 수술 못하나요...?
4년 이상 투여하였다면
치과 수술 전 2개월 동안 약을 중단
하셔야 합니다.
이때는 임의로 약을 중단하시면 안 되고
내과 전문의와 협의하여
약 투여 중단에 대해 결정해야 합니다.
적절한 약물 중단 기간을 가진다면
비교적 안전하게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등의
치과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수술 부위가 감염되지 않도록
항생제 복용과
구강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큰 부작용 없이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환자분 임플란트 케이스
환자분은 50대 여성 환자분으로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시다가
약 6개월 정도 중단 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24.10.21

24.11.01 임플란트 수술

24.12.09 수술 후 중간 검진

25.02.03 임플란트 본뜨기

25.02.12 임플란트 치료 완료
타치과에서 어금니 발치 후
내원해 주셨습니다.
약을 중단하신지
6개월 정도 지나셨고
건강검진 결과도 이상이 없으셔서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하였습니다.
환자분께서
구강위생관리를 잘해주셔서 그런지
큰 부작용 없이 수술 부위가 회복되었고
수술 후 약 3개월 뒤에
치료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신다고 해도
적절한 관리와 조치가 이루어진다면
안전하게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